반응형
TSV(Through-Silicon Via)란?
TSV는 실리콘 칩을 수직으로 뚫어서 칩 간 전기 신호를 연결하는 기술이야. 고속도로로 치면 여러 층의 도로를 쌓아 올리고, 층마다 차(데이터)가 빠르게 오갈 수 있게 수직 터널을 뚫는 셈이지. 이건 특히 HBM(High Bandwidth Memory) 같은 고대역폭 메모리에서 칩을 높이 쌓으면서도 성능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
HCB 방식과 MR MUF 방식의 차이
이 두 방식은 TSV를 활용해 칩을 연결하고 패키징하는 방법인데, 공정과 특성이 달라서 결과물도 달라져. 고속도로 비유를 붙여서 하나씩 뜯어보자.
1. HCB 방식 (High-Contrast Bump)
- 고속도로 비유: 이건 차량이 쌩쌩 달릴 수 있는 최신 포장도로야. 과속 방지턱(기생 요소)이 거의 없고, 도로 폭도 넓고 매끄러워서 차가 막힘없이 빠르게 지나갈 수 있어.
- 기술적 특징:
- 높이: TSV의 수직 연결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칩 사이 간격(인터포저나 범프 높이)이 얇아지니까 전체 패키지가 슬림해짐.
- 기생 캐패시턴스 (Parasitic Capacitance): 전기 신호를 방해하는 '마찰' 같은 요소가 적어. 캐패시턴스가 낮으면 신호 지연이 줄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져.
- 저항 (Resistance): 전기 저항도 낮아져서 열 발생이 적고, 전력 효율이 좋아짐.
- 공정: 범프(칩 연결용 납땜 구조물)를 고밀도로 정밀하게 배치해야 해. 이건 고속도로의 포장을 초정밀하게 깔아야 하는 것과 비슷한데, 그만큼 기술 난이도가 높아.
- 장점: HBM 같은 고성능 메모리에서 칩을 더 많이 쌓아도 성능 손실이 적고, 발열도 줄어. 고속도로로 치면 연비 좋은 차가 막힘없이 달리는 상황.
- 단점: 초정밀 공정(영점 조준)이 필요해서 제조가 까다롭고 비용이 높을 수 있음. 고속도로를 완벽하게 만들려면 설계부터 시공까지 엄청난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뜻.
2. MR MUF 방식 (Mass Reflow Molded Underfill, 추정)
- 고속도로 비유: 이건 좀 더 전통적인 도로에 가까워. 과속 방지턱(기생 요소)이 간간이 있고, 도로가 약간 울퉁불퉁해서 차가 속도를 내기엔 한계가 있어.
- 기술적 특징:
- 높이: TSV와 칩 간 연결 구조가 HCB보다 두꺼워질 가능성이 커. 칩을 쌓을 때 몰딩(보호재) 공정이 포함되니까 패키지 전체 높이가 높아질 수 있음.
- 기생 캐패시턴스: 방지턱처럼 신호를 방해하는 요소가 더 많아. 칩을 많이 쌓을수록 캐패시턴스가 누적돼서 신호 왜곡이나 지연이 생길 확률이 높아짐.
- 저항: 저항도 HCB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서 전력 소모가 커지고 열이 더 발생할 수 있어.
- 공정: 몰딩 공정을 통해 칩을 보호하고 연결하는데, 이건 고속도로를 대량으로 포장하면서 약간의 요철을 감수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어. HCB보다 정밀도는 덜 요구되지만 안정성은 확보 가능.
- 장점: 공정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기존 설비로도 구현 가능성이 높아서 제조 난이도가 낮음. 고속도로로 치면 빠르게 깔 수 있는 일반 도로.
- 단점: 높이가 높아지고 기생 요소가 늘어나니까 HBM처럼 초고속 성능이 필요한 상황에선 한계가 드러남.
과속 방지턱이 하나씩 있다면?
질문에서 "고속도로 중간에 과속 방지턱이 하나씩 있다면 어떨까?"라고 했는데, 이건 TSV의 기생 캐패시턴스와 저항을 비유한 거야.
- 현실로 풀어보면: TSV를 통해 칩을 쌓을 때마다 기생 캐패시턴스와 저항이 조금씩 쌓여. 이건 고속도로에 방지턱이 생기는 것처럼 데이터 전송 속도를 늦추고, 신호가 왜곡될 가능성을 높여.
- 영향: 방지턱이 많아질수록 차(데이터)가 느려지고, 연비(전력 효율)가 나빠지며, 열(발열)이 더 많이 나와. 특히 MR MUF 방식은 이 방지턱이 더 두드러질 수 있어.
- HCB의 강점: HCB는 이 방지턱을 최소화하는 설계야. 방지턱을 없애고 도로를 매끄럽게 깔면 차가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달릴 수 있듯이, HCB는 신호 손실을 줄여서 고성능 HBM에 적합해.
삼성과 HBM 주도권
HBM은 AI, GPU, 데이터센터 같은 고성능 컴퓨팅에서 필수적인 메모리야. 현재 SK하이닉스가 HBM3 시장에서 앞서가고 있지만, 삼성이 HCB 방식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면 판도가 바뀔 수 있어.
- HCB의 잠재력:
- 패키징 높이: 더 얇은 패키지로 칩을 더 많이 쌓아도 안정적이라 HBM3나 HBM3E 같은 차세대 메모리에 유리.
- 저항/캐패시턴스: 신호 손실과 발열을 줄여서 경쟁사 대비 전력 효율과 속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 시장 영향: 삼성이 이 기술을 상용화하면 SK하이닉스나 마이크론을 제치고 HBM 시장의 주도권을 다시 가져올 가능성이 커.
- 도전 과제: 초정밀 공정(영점 조준)이 성공의 관건이야. 고속도로를 완벽히 깔려면 설계, 장비, 테스트까지 모든 단계에서 실수가 없어야 해.
정리
- HCB: 과속 방지턱 없는 매끄러운 고속도로. 속도 빠르고 효율 좋지만, 만들기 어려움.
- MR MUF: 방지턱 있는 일반 도로. 만들기 쉽지만, 성능 한계가 있음.
- 삼성의 목표: HCB로 완벽한 고속도로를 깔아서 HBM 시장을 다시 장악하는 것.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O(미 의회예산국)의 예측 변화와 그 배경 (0) | 2025.03.27 |
---|---|
컵 앤 핸들 패턴 상세 연구 보고서 (0) | 2025.02.10 |
윌리엄 오닐: 생애와 투자 전략 (1) | 2025.02.09 |
[위대한 투자자] Mark Minervini - 마크 미너비니의 20가지 주식 매매원칙 (1) | 2025.02.09 |
25년 1월 29일 파월 의장(FOMC) 코멘트 주요 사항을 토대로, 전반적인 거시 경제 흐름을 살펴보고 주식(Equity), 원자재(Commodity), 채권(Bond) 시장 방향성을 추정 (0) | 2025.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