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윌리엄 오닐 -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 차트전략 및 투자 회사 발굴 하는 법 위주 정리 주식 시장에 대한 명확한 통찰력과 실용적인 투자 전략을 제공하는 윌리엄 오닐의 책,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은 투자자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소개하는 책입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단순히 이론적인 내용을 넘어서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투자 전략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1. 컵 앤 핸들 (Cup and Handle)원리:컵 앤 핸들 패턴은 주식이 한 번 하락하고, 다시 상승한 뒤 잠시 조정을 거친 후 다시 상승하는 형태입니다. 주식이 하락하면서 매도 물량이 나와 주가가 떨어지지만, 결국 매도세가 약해지고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는 모습입니다.이때 컵 부분은 주식이 큰 하락을 겪고, 핸들 부분에서는 잠시 조정을 받으면서 매도세가 소진되고, 상승을 위한 새로운 매수세가 들어옵니.. 2025. 2. 2.
[홍학의 자리] - 정해연 저 | 함정을 위한 소설 (결말 스포주의) 채다현 이 이야기는 김준후와의 불륜 이후 자살을 결심한 채다현의 비극적인 죽음을 다룹니다. 채다현은 한때 친구였던 정은성이 건네준 칼로 자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하고, 결국 목을 매달아 죽음을 택합니다. 그러나 이는 실패로 끝나고, 김준후는 자신과의 불륜이 드러날까 봐 채다현을 아파트로 데려가 욕조에서 수장시켜 '익사'로 사망하게 만듭니다.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은 채다현의 죽음을 애도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의혹을 피하고 잘못을 숨기기에 급급합니다. 이야기의 또 다른 반전은 채다현이 사실 남자였다는 것입니다. 이는 책 제목인 '홍학의 자리'와 연결되는데, 홍학은 동성애가 많은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채다현은 김준후에게 외로움을 이해받고 싶었으나, 김준후는 채다현을 진심으로 생각하지 .. 2024. 4. 8.
원인과 결과의 경제학 - 넘치는 데이터 속에서 진짜 의미를 찾아내는 법 원인과 결과의 경제학 - 넘치는 데이터 속에서 진짜 의미를 찾아내는 법 ㅁ나카무로 마키코, 쓰가와 유스케 저/윤지나 역 | 리더스북 | 2018년 09월 20일 https://youtu.be/vjhfL6g1xK4 근거 없는 통설에 속지 않으려면 - 인과 추론의 본질 Logic/Theory-Oriented 수학적 법칙이나 논리적 추론에 따라 인과관계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 당위성(logical imperative)을 구축한다. Data/Evidence-Oriented Statistics-Based Approach 통계적 비편향성(Unbiasedness : 모집단의 부분집합을 샘플링 했을 때 샘플 내에서 찾아낸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모집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바탕으로 인과관계를 정의한다 장점 : 내.. 2023. 5. 12.
원인과 결과의 경제학 - 넘치는 데이터 속에서 진짜 의미를 찾아내는 법 https://youtu.be/vjhfL6g1xK4 나카무로 마키코, 쓰가와 유스케 저/윤지나 역 | 리더스북 | 2018년 09월 20일 제1장 근거 없는 통설에 속지 않으려면 - 인과 추론의 본질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인과관계 : 두 변수 중 한쪽이 원인 - 상관관계 : 비슷한 양상을 보일뿐 - 인과성이 있는지는 모름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세 가지 포인트 28ㅣ - ‘우연의 일치’는 아닌가? - 우연의 일치? - - 제3의 변수’는 없는가? - 역의 인과관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반사실’로 증명하다 37ㅣ 반 사실이란 쉽게 얘기해서 평행 세계를 생각해보는 것이다. 위 예시를 예로 들면,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세계에서는 정부의 지침과 국민들의 성원에 힘업어 백신 접종률 84%를 달성하였다. 그런.. 2023. 4. 19.
인공지능 시대의 비즈니스 전략_ 정도희 지음 인공지능 보다 더 중요한 것 - 보통은 인공지능 기술만 도입하면 기업의 여러 문제들이 해결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지고 기업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함. - 기술보다는 전체 최적화, 조직간 조율, 목표 관리, 커뮤니케이션, 평가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방향과 문화가 훨씬 더 중요 인공지능의 진짜 의미 -데이터를 잘 활용하는 것 전통적 의미로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발굴 및 의사결정에의 활용 기존 데이터를 사용해서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것 이러한 새로운 가치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즈니스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 요약 데이터 드리븐 경영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단순히 몇 명 혹은 몇 부서만 가지고 할 수는 없음 전사적인 관리가 필요 제일 중요한 것은.. 2022. 12. 11.
[계발 for 개발?]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인턴업무를 하면서 느낀점은 더 이상 엑셀등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싸우는 건 아마도 총이 있는 세상에서 칼이나 화살로 싸우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했다. 엑셀이 필요없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하지만 앞으로 10년 뒤에 내가 가진 기술이 그저 직관적이고, 단순 노동을 위한 기술이라면 나는 반복업무만 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 생각이 미치자 마자 집에와서 YES24로 AI, IT, 빅데이터니 하는 책들 중에서 괜찮아 보이고 많이 팔리는것 같은 책 4권을 주문했다. 개발자가 되어야 겠다고 마음 먹은것은 아니다. 비록 개발과는 떨어져 있더라도 어느 정도의 지식이 없다면 '나는 10년, 20년 뒤에도 이 자리에 머무를 수도 있겠구나' 하고 생각했다.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제일 잘 팔리는 책이라고 한다... 2022. 12. 7.
권도균 - 스타트업 경영수업을 읽고 사실 평소에도 창업에 많은 관심이 있었고, 요식업을 해보기도 했으며, 실제로 창업을 도전해보려고 도전 K Start up 대학생 리그도 출전해 300등안에 든 기억이 있다. (인력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하여 접을 수 밖에 없었지만) 창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사실 따지고 보면 이렇다 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기억은 몇번 없다. 경영학을 전공하며 SWOT분석 혹은 BCG Matrix와 같은 책에서 배운 고리타분한 개념은 많이 접했지만 실제로 내 비즈니스를 운영하면서 현실에서 마주한 벽들은 그러한 방법론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론과 실제에서 오는 괴리감은 이루어 말할 수 없을 만큼 컸다. 물론 U300 대학창업유망팀에서 창업과 관련하여 배운 LEAN CANVAS 혹은 창업 투자 방법론 같은 수업.. 2022. 12. 7.
반응형